전체 메뉴

“게임은 다시 시작된다” (하)

윤준식 기자 승인 2013.06.29 19:16 의견 0

[윤기자의 View-人(5)]<더 플레이_Stage1.떡볶이>로 돌아온,

극단 <하늘연어> 조재국 대표 인터뷰 (하)

 

 


 

11년 만에 찾아온 창작뮤지컬 <더 플레이_Stage1.떡볶이>. <더 플레이>는 당시 라이센스 뮤지컬의 범람 속에서 한국 공연문화의 자존심을 드러낸 작품이었다.극단 <하늘연어>의 조재국 대표는 11년 전 <더 플레이>에 출연했던 배우였다. 그런 그가 이번에는 연출자로서 자신이 출연한 작품을 리메이크하여 무대에 올렸다. 공연이 끝난 늦은 시각, 시사미디어투데이는 대학로의 카페에서 조재국 대표를 만났다. 그는 시사미디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11년 전의 <더 플레이>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소극장 뮤지컬로 다시 돌아온 <더 플레이_Stage1.떡볶이>가 공연되기까지의 과정을 말했다.

 

 

== (상)편에서 계속 ==

 

 

▲ 연기자 출신답게 인터뷰 중에도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는 극단 <하늘연어> 조재국 대표 ⓒ 시사미디어투데이

 

윤기자: 단순히 적자본 것으로 실패라 하시는 의미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만.

 

조대표: 네. 엄밀히 말해 실패는 아니어요. 표는 많이 팔았는데 제작비를 많이 쓰다보니 어렵게 되었다는게 맞는 거예요. 코엑스 티켓박스에서 계속 발권이 되어 정신없었으니까요. 하지만 당시에 배우로 참여하며 ‘이건 아닌데’ 아쉬워했던 부분으로 계속 고민했어요. 이 고민 때문에 제가 실패란 표현을 한 것 같네요. 10여년 지나면서 다시 소극장으로 가자,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원론적인 부분을 다뤄보자란 생각을 했어요.

 

윤기자: 그런데 부제는 왜 “떡볶이”로 하신건지

 

조대표: <오마이갓스> 이후 코엑스까지 가는 과정 속에 작품에 작가가 두 명, 작곡가도 세 명으로 늘어나며 작품이 커지게 되었어요. 그러다보니 오리지날 스토리가 뒤로 밀리는 감이 있었어요. 그러면서 오리지날 멤버들이 만든 대본과 곡으로 다시 소극장에서 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각색과 연출을 시작하게 된 거죠.

 

윤기자: 그럼 원래의 <더 플레이>와 지금의 <더 플레이_떡볶이>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조대표: 지금의 <더 플레이_떡볶이>는 원작에서 1막 1장에 해당하는 40분 짜리였어요. 그걸 소극장에 맞게 80분 버전으로만든거죠.

 

윤기자: 그럼 어떤 면에서는 극이 달라졌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조대표: 우선은 관객들이나 관계자분들께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네요.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이렇게 극을 재구성할 경우, 새로운 곡들이 작곡되어서 들어와야 하는데 제작 여건상 그러지 못했어요. 그러다보니 억지스럽게 껴맞춰가는 부분이 있어요. 그리고 아직은 배우들이 무대에서 즉흥적으로 녹여내기엔 미흡한 점도 있어요. 지금도 진화중인거지요. 완성품은 아닙니다.

 

▲11년만의 리메이크이지만 발전을 시도하는 뮤지컬 <더 플레이_떡볶이> ⓒ리틀스토리 제공

 

윤기자: 제가 볼 때, 이전의 <더 플레이>와 같이 이번 <더 플레이_떡볶이>에서도 ‘현대인들의 중독’을 다룬 것 같아요.

 

조대표: 맞아요.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이야기가 그거예요. 우리가 뭔가에 중독되어 있고 거기에 너무 얽메인 게 아니가 이성적인 것 같지만 아이돌 현상만 봐도 그래요. 지금은 다양성이 있는 것 같지만 그 다양성이라는 것도 현실적으로 보면 어느 한 쪽으로 몰아가는 것 같아요. 사람들에게 자연히 생각할 시간을 안주고 뭔가 몰아가는 것 같은 현대 사회, 그런 것을 알려주고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죠. 더 근본적인 것들을 생각해보자! (밝게 웃음)

 

윤기자: 또 공연을 보면서 느낀 건, 공연 중에는 코믹함에 웃고 박수치며 지나가지만, 공연 이후에는 강한 메시지에서 오는 무게감으로 부담스럽더라구요. 연출 의도가 숨은 것인가요

 

조대표: 사실 그런 부분은 배우들의 연기로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넘어가야 합니다. 무대에서 관객들이 만나는 것은 배우죠. 소극장은 눈빛과 모든 것이 디테일합니다. 그래서 여운이 있어야 하죠. 리메이크 후 초연이라 아직까지는 그런 면에서 조금 부족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윤기자: 혹시 ‘디톡스’라는 컨셉 때문에 더 그런 것 아닌지 모르겠어요.

 

조대표: 예. ‘디톡스’라는 키워드는 연초부터 잡았어요. 최근 힐링이 너무 범람하고, 더 이상 의술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대중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걸 보면서 그랬죠. <더플레이_떡볶이>는 그런 면에서 중요한 내용이예요. 무대 위에서 다양한 표본을 즐겁게 보여주면서... 특히 관객입장에서 <더플레이>의 배역은 어느 하나 자기에게 대입 안되는 것은 없다고 봅니다.

 

이번에 <더 플레이_떡볶이>를 연출하시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 있으시다면 어떤 건가요

 

이 작품을 보완할 좋은 작가가 없다는 거였어요. 우리나라 뮤지컬이 라이센스 뮤지컬에 밀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해요. 물론 제가 볼 때 그렇다는 건데요, 아직은 극을 꿰뚤어보는 사람이 없는 것 같아요.

 

윤기자: 원래 11년 전 <더 플레이>에서 배우로 출연하셨는데, 배우 관련해 한 말씀 해주세요.

 

조대표: 저는 <더 플레이>에서 ‘양노인’을 했었어요. 31살에 노인역할을 했었죠. (웃음) 그때는 배우 전원이 일인다역이었어요. 2막4장 구성이라 4가지 역할은 기본이죠. 저도 양노인, 검사 등등을 했었거든요.

 

이번 작품에서 ‘양노인’역은 김정민 배우가 하고 있어요. 그 친구를 택한 이유는 저랑 동기이기도 하고 동지를 찾고 있는 것이기도 해요. 작품을 통해서 끝까지 같이 삶을 공유할 수 있는 친구들을 찾고 있는 것이랄까요 어떤 배우든 누구나 부족한 부분은 있어요. 그러나 ‘사람 인(人’)‘자처럼 서로 의지가 되잖아요. 그런 부분은 작품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공동체, 즉 배우 공동체를 생각하게 되요.

 

몇몇 친구들은 경력이 적어서 잘 못하는 부분도 분명 있죠. 이 친구들이 잘 성장했으면 좋겠고, 이게 무대가 섰다고 해서 완성이 아니라, 더 발전해야 되고 이 작품을 통해서 잘 성장했으면 좋겠다는 바램이죠. 오늘도 배우들 모두 혼이 나면서 훈련을 했어요.

 

▲11년 전의 <더 플레이>에서 배우로 출연했던 조 재국대표는"양노인" 외에도 다양한 배역을 했었다고 소회한다. ⓒ리틀스토리 제공

 

윤기자: 이번 작품 속에 기독교적인 메시지가 숨어있는데, 종교계의 반응은 좀 있나요

 

조대표: 잘 보셨네요. 극 중에서 주인공 ‘갓스’가 주는 메시지가 있는데, 이 부분은 C.S.루이스의 <스크루테이프의 편지>를 떠올리시면 될 거예요. 이런 부분이 기독교계와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다고 보지만, 요즘 기독교 쪽은 CCM시장(주: 기독음반시장)이 죽어버렸어요. 이런 분위기라면 공연문화 쪽으로는 관심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고 봐야죠. 종교적 공감대가 있다고 해도 마케팅에서는 쉽게 봐선 안되는 것 같아요.

 

윤기자: 대형 교회나 신학대학에서 초청공연같은 것도 있었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조대표: 지난 11년의 공백기간에도 초청공연을 많이 갔었어요. 어떤 교회에서 자체적으로 해보겠다고 해서 도움을 주기도 했구요. 아! 모 대학은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공연을 하겠다고 해서 지원해주기도 했어요. 그런 식으로 알게 모르게 저변확대가 되어있기는 해요.(잠시 멈춤)하지만, 음악감독님과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종교적인 이야기도 있지만 한국적인 창작뮤지컬로 이 작품이 그런 위상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거예요. 미국에서 <가스펠>도 일반적인 뮤지컬로 보완이 되었어요, 음악적으로도 좋아졌구요.

 

윤기자: <가스펠>이야기 나오고 하니까 뮤지컬 넘버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네요.

 

조대표: 아, 지금 이 음악이(주:이번 공연의 넘버가) 오리지날입니다. 편곡없이 한거에요. 옛날 고전이랄까 그때 이 음악이었어요. 심상학, 그 친구가 11년 전 20대 초반에 만든 거예요. 11년 전꺼니까 지금 들어보면 완성도 부분에서 많이 약해요. 코엑스 공연 때의 MR은 사운드는 풍성한데 소극장 공연에 안맞아요. 제일 좋은 것은 라이브밴드인데, 라이브가 가지고 있는 감동이 있거든요. <오마이갓스>와 <갓스> 때는 심상학 씨가 라이브로 했었어요. 지금은 그런 것이 약해져서... (잠시 멈춤) 아쉽죠. (씁쓸한 미소)

 

윤기자: 마지막으로 소극장 뮤지컬이나 공연이 가야할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조대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공연이 이제는 공연으로써만 홍보를 하면 살아남지 못할 거 같아요. 공연이 사회적인 기능과 같이 묶여서 가야할 것 같아요. 공익적인 일을 하는 곳들과 함께 말이죠. 밥만 줄 건 아니잖아요, 정신적인 방향제시, 꿈을 줘야하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 말을 할 수 있는 공연을 만들어내야 하죠. 대극장 공연은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하기에 오히려 사회적 기능을 하는 것에 제약이 있어요. 수익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으니까. 저는 소극장 공연들이 과감하게 그런 틈새를 파고들 수 있다고 봅니다.

 

▲공익마케팅이 소극장 공연의 활로가 될 것이라 역설하는 극단<하늘연어> 조재국 대표 ⓒ 시사미디어투데이

 

 

[대담: 시사미디어투데이 윤준식 기자 / newsnzine@sisa-today.com]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