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4차산업혁명(1)] '4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이해 (上)

윤준식 기자 승인 2018.03.20 17:33 의견 0

2016년 3월 구글이 개발한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은 어마어마한 충격을 가져왔다. 모든 이들의 희망과 달리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압승을 거뒀기 때문이다. 알파고 충격은 인공지능(AI)에 대한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4차산업’ 또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갔다.

이어 2017년 5월의 대선은 ‘4차산업’, ‘4차 산업혁명’ 키워드 활용의 정점이 되었다. 각 정당 대선후보들에게 있어 전임정부가 앞세운 슬로건이었던 ‘창조경제’라는 이미지를 국민들의 뇌리에서 지우고 이를 뛰어넘는 경제공약, 미래먹거기 비전제시, 과학기술공약을 위해서는 이보다 더 적합한 용어가 없었던 것이다.

(출처: 픽사베이)

명쾌하지 않은 4차산업 이야기들

문제는 바로 이것이다. 용어만 남발했지 ‘4차산업’,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정확히 따져 묻지 않는 분위기가 되었다. 이 2가지가 어떻게 다른 의미인지, 어디부터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해 소통에 혼란을 빚을 때가 많다. 심지어 인공지능, 3D프린터, 드론, 사물인터넷 등 몇 가지 명칭 이외에는 아무 것도 알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또한 명칭만 알뿐 그것이 어떤 것이고 용도가 뭔지 모르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4차산업이 왜 등장했는지, 4차산업 이후의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야기하기란 쉽지 않다. 이 정도 수준이라도 되면 꽤나 트렌디한 사람이며 식자층에 드는 상황이다.

반면 4차산업이나 4차 산업혁명에서 도태되면 미래가 없을 것처럼 여기는 약간의 공포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TV와 신문을 살펴보면 다양한 전문가들이 등장해 4차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지만, 다 거기서 거기인 이야기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은 없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소모적인 4차 산업혁명 논쟁에 대한 비판까지 나왔다.

4차산업혁명위원회까지 있는 나라인데

한편, 이런 논쟁은 새로운 정부가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하며 일단락되는 듯했다. 하지만 이후 지나칠 정도로 4차산업, 4차 산업혁명 이야기는 쑥 들어가 버렸다. 그러다가 정부의 ‘비트코인’ 규제조짐이 보이자 또 한 번 논쟁이 벌어졌다.

서울 광화문 앞에 있는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사진: 윤준식 기자)

논쟁의 본질은 비트코인 시세의 등락이 사행심을 조장한다는 쪽으로 흘러갔다. 기반기술이며 4차산업, 4차 산업혁명의 추진축인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비트코인 투자는 신기술 기업이 R&D를 지속하기 위한 ICO(신규코인상장; Initial Coin Offering) 방법과 관련있다는 것까지 생각이 미치지 않았다.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그간 대한민국에서 진행중인 4차산업 논의는 다분히 정책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모든 관심이 새롭게 등장하는 ‘제품’에만 쏠렸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창조경제’를 표방하며 정치적 프로파간다에만 집중했던 전임정부의 책임이 크다. 대통령이 이공계 출신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던 것이 자기 발등을 찍었다. 상대적으로 언론노출에 용이한 ‘신기한 물건’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R&D의 근간을 보여주지 못했던 것이다. (계속)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