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제언 1. 작은 단위 포럼을 만들자!

4차 산업혁명과 자치분권 시대(49)

조연호 작가 승인 2018.12.12 13:41 의견 0

제언 1. 작은 단위의 포럼, 다양한 소리를 듣자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 수많은 포럼, 컨퍼런스 등이 개최되었다. 참고로 관련 산업 전시회도 상당히 많다. 이미, 수도권에서는 코엑스와 킨텍스에서 관련 분야의 전시회가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관련해서 하나의 경험을 전하자면, 2017년 킨텍스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필자는 담당자를 알기에 가볍게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는데, 역시 4차 산업혁명을 잘 모르고 있었다. 그리고 전시 주제 중에 IoT와 IoE가 있었는데, 두 개념은 같다고 봐야 한다. 하나는 ‘사물인터넷’으로 번역되고, 다른 하나는 ‘만물인터넷’으로 번역되는데,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의 수준을 어느 정도에 두는 가에 따라 표현이 다를 뿐이다.

그런데, 두 가지를 다 전시하겠다는 자신감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지방도 마찬가지다. 이미 부산에서 관련 엑스포가 개최되었고, 대구도 ICT엑스포를 비롯해서 ‘미래 자동차 엑스포’를 2017년 11월에 개최했다. 호남은 광주에서 ‘그린카 엑스포’를 2017년에 10주년을 맞이해서 김대중컨벤션 센터에서 개최했는데,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분야가 전시되었다. 중부지방에서는 대전광역시가 ‘4차 산업혁명 특별시’라고 선언하면서 국회에서 선포식도 진행했고, 카이스트라는 굴지의 학술기관이 있어서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하게 만든다. 그리고 한반도의 끝이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에서도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를 네 차례 개최했고, 아마도 2018년 엑스포부터는 서서히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주제를 다룰 것으로 생각한다.

대부분 엑스포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과 중앙정부의 보조금으로 진행된다. 물론, 전시 참여 기업의 협찬도 상당 부분 차지한다. 그리고 모든 전시는 컨퍼런스와 동시에 개최돼서 지식 엑스포를 지향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일반 시민들의 참여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전시가 지역 시민들에게 사실상 무료로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전국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전시와 컨퍼런스에 대부분 시민은 강 건너 불구경하듯이 보고 있다. 과연, 누구를 위한 전시이고, 컨퍼런스인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지 않은 예산이 투여되는데, 누가 그 세금의 혜택을 보고 있는 것인가

필자는 전시회를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다. 시민의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미래의 기술이 이런 것이구나‘!’ 하고 느낌표만 남게 하는 전시는 무의미하다. 기업들이야 언론에 보도가 돼서 홍보가 되면 이득이 있다고 하겠지만, 참관객들은 그저 들러리일 뿐이다. 컨퍼런스가 지적인 담론을 논하는 자리이긴 하지만, 일반인들이 알아듣지 못할 수준이 되면 굳이 이 기간에 컨퍼런스를 할 이유가 없다. 학문의 전당인 대학교의 강의실에서 그들만의 리그를 펼치면 된다. 굳이 알아듣기 힘든 이야기를 하면서 일반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전시회는 국제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외국인 참여를 독려한다. 외국인 강사가 적절한 인사라면 괜찮지만, 그저 구색 맞추기면, 예산만 낭비할 뿐이다. 그리고 참여 기관의 수에도 민감하다. 콘텐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기관이 참여했는가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필자는 작은 단위의 ‘4차 산업혁명 포럼’을 제안한다!”

앞에서 계속 언급했듯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의미에 대해서 대부분 시민은 잘 알지 못한다. 이러한 부분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책임지고 교육하거나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공무원이 ‘4차산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4차산업 혁명’ 혹은 ‘4차산업혁명’이라고 표기해서는 안 된다. 정확한 표현과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포럼은 학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담당 공무원이 담당해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기 때문이다.

작은 단위는 시, 군, 구 등의 차원이 될 텐데, 필자의 생각은 기초자치단체 의원의 선거구 수준 단위의 포럼을 권한다.

특히, 2018년에는 지방선거가 있어서 후보들이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할 텐데, 시민 포럼은 좋은 공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방분권 시대를 준비하는 좋은 공론의 장이 될 것이다. 임기가 4년이니, 한 달에 1회만 포럼을 개최한다고 하더라도 40회 이상을 할 수 있다. 커리큘럼은 지역의 상황에 맞게 구성하면 된다.

필자가 알기에는 1개월에 1회는 주민자치 회의를 개최한다. 주로 지역의 유지들이 참여하는 모임이어서 일반 주민들은 거의 참석하지 않지만, 계속 홍보하고 강사진을 확보한다면, 일반 주민들의 참여도 늘어나리라 생각한다. 기본적인 논의의 시공간이 있어야 다양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4차 산업혁명에 관련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토론은 곧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참고한다는 의미이다. 즉, 웰빙-포용 사회로 가는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이다. (다음 회에 계속)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