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제언 4. 4차 산업혁명 교육센터 조성(2)

4차 산업혁명과 자치분권 시대(53)

조연호 작가 승인 2018.12.19 11:06 의견 0

어르신들을 위한 미래 교육(디지털 교육)의 의무화

필자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우리 부모님 세대의 에피소드를 독자들과 함께 나눴다.

필자도 20년이 지나면, 60대가 된다. 그 시대에는 5차 산업혁명을 말하고 있을지도 모르고, 특이점 주의자들이 말하는 ‘특이점’이 도래할지도 모른다. 현재는 4차 산업혁명에 관련한 책을 쓸 정도로 흐름을 잘 이해하지만, 20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미래의 속도』에서는 현재 파괴적 메가트렌드가 인구 구조의 변화, 즉 인구의 고령화 문제라고 말한다. 지금 부모님 세대에 대해 느끼는 우리의 답답함은 우리 다음 세대가 우리 세대에게 유사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다.

디지털 격차는 더 심해질 것이다. 최근 조사를 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고령층 가입자가 2.0%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현재 60대는 어차피 20년 후에도 80대가 되어 지금 80대 어르신들과 비교해서 더 건강하게 살고 있을 것이다. 지금 디지털 격차를 느끼고 도태한 60대가 80대가 되었을 때는 어떨까 그리고 새롭게 도태되는 세대가 추가로 합류할 것이다.

그런데, 그 인구의 규모가 어느 시대보다 더 많다. 사회적인 부담이자,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당장 어르신들을 위한 간단한 일자리를 만들어서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정책도 좋지만, 곧 다가올 미래를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재교육을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OECD에서 구상하는 고령화 프로젝트 ‘디지털 경제에서 적극적인 노년의 삶 촉진 프로그램’은 성장으로 가는 길로서 실버 경제의 성공은 모든 연령의 사람들을 디지털 라이프 속으로 통합시키는 것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웰빙-포용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연히 노령층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뤄야 하는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재교육을 의무적으로 실행해야 한다(현재도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교육을 실행하기도 하는데, 의무교육이 아니고 선택 교육이고 소정의 학습비를 요구하고 있다).

필자는 어르신들을 위한 4차 산업혁명 의무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한국의 노인들에 대한 정책은 청소년과 관련한 정책에 비해 반영되기 쉽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어르신들은 곧 유권자이기에 4년마다 돌아오는 선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어르신들이 다가오는 미래를 예측해서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요청하기가 쉽지 않다.

이 부분에서 ‘넛지(Nudge)’가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관련된 의무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어르신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때 필수 코스로 관련한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물론, 교육은 과거 교실에서 진행했던 강의식이 아니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이 좋을 것이다. 흥미를 주고,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서 최소한의 디지털 기기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르신들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디지털 격차를 줄일 수 있어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어르신들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교류하는 동안 긍정적인 시너지 발생도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문화 구성원과 어르신들은 어떻게 보면, 큰 저항 세력이 발전하기 힘든 계층이기도 하다. 그러나 힘이 없다고 해서 소외시켜서는 안 된다. 이들을 더 지원하여 웰빙-포용 사회의 일원으로 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은 어차피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다문화 국가로 진입할 것이다. 따라서 미리부터 대비해야 한다. (다음 회에 계속)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