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다시보는 독일 통일(7)] 서독과 동독, 서로의 삶으로.

칼럼니스트 취송 승인 2019.02.04 09:00 | 최종 수정 2019.11.20 13:54 의견 0

당시 서독은 동유럽과 동독의 사태 변화에 따른 국내 문제로 동유럽과 소련과 동독에서 유입되는 독일계 이주민(난민) 수용에 골몰하고 있었다. 1989년 초부터 장벽 붕괴 시까지 동유럽과 소련에서 30만 명의 독일계 이주민, 동독으로부터 24만 명이 서독으로 유입되었다.

장벽 붕괴 직전까지 콜 총리실에서는 기민련의 총리실장 루돌프 자이터스(Rudolf Seiters)와 알프레드 드레거(기민련/기사연), 볼프강 미슈닉(자민당), 한스 요하임 포겔(사민당) 등 각 당의 원대표들이 이주자 대량유입 대책을 논의했다. 장벽 붕괴 전날 동서독은 동독의 여행자유화에 따른 교통문제를 협의하기 위하여 에어하르트에서 전문가 회담을 열었다. 아직 통일은 논의의 대상도 아니었다. 장벽 붕괴까지의 변화를 정리한 1989년 11월 23일자 슈피겔(Das Spiegel)지 기사를 잠시 살펴보기로 하자.

사민당의 동독 전문가 귄터 가우스는 재통일 주제를 “제쳐두기” 위하여 “전문분야별 연합”(Konfoderation auf Sachgebieten)을 협상할 수 있는 4강국 회의를 주장했다. 한편 당수 한스 요헨 포겔과 명예 당수 브란트는 정치협상을 위해 동베를린으로 갔다.

서독 재무부 실무팀은 경제원조 모델을 구상했다. 자민당은 동독 투자를 위한 ‘투자기금 안’을 내놓으면서, 당수 오토 그라프 람스도르프는 “우리에게 자금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콜 총리는 지난 금요일 저녁 쇠넨베르크의 시청 앞에서 열린 전체 정당 대중집회에서 성급하게도 에곤 크렌츠를 위로하려는 접촉을 시도한 데 대해 가차없는 야유를 받았다. 그렇지만 생각대로 금요일 저녁에 만나지는 못하고 전화통화만 했다.

동서독 주민들의 정서 역시 그 때까지는 구체적인 통일 생각하지 않았다.

서독 사람들은 동독 시민이 방문차 오는 것을 바라지 영원히 오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동독으로 돌아가는 사람도 이 꿈과 무관했다. 그들은 민주주의, 복지, 많은 자유와 약간의 사회주의가 있는 실재의 독일민주공화국을 원하고 있다.

동독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라이프치히 월요시위가 30만 명을 돌파하던 1989년 10월 23일 독일민주공화국(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은 어느 시대 어디서나 마찬가지로 속죄양을 만들면서 분위기 전환을 시도하였다.

*글쓴이: 취송(翠松) / 재야학자. 독일사회와 정치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했다.

*본 연재는 인터넷신문 <제3의길>에 기고된 "독일 통일의 경험"을 재구성한 내용이다.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