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4차산업혁명(7)] "용어착각: 4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은 다른 말!"

윤준식 기자 승인 2018.04.11 14:29 의견 0

지난 3월 28일 시사n라이프가 희망사업단과 공동주관한 북콘서트 <4차 산업혁명과 자치분권 시대>에서 조연호 저자는 “‘4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연호 저자는 북콘서트 전 본지와 진행한 영상인터뷰에서도 이 점을 강조했다. 한편, 조연호 저자의 <4차 산업혁명과 자치분권 시대> 전반부에서도 분량을 꽤 많이 할애해 언급하고 있다. 특히 정부당국의 주무부서조차도 ‘4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업무를 추진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개탄을 금치 못하고 있다.

취재과정에서 만나는 적지않은 분들이 “1차산업이 일으킨 산업혁명이 ‘1차 산업혁명’, 2차 산업이 ‘2차 산업혁명’”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여기에 5차산업도 존재한다는 설명까지 더하면 “4차 산업혁명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무슨 5차산업이냐”고 반문하는 경우도 있었다.

1940년 클라크의 산업구분 - "1차-2차-3차산업"

시리즈 기사 두 번째였던 <‘4차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이해(下)>편에서도 “1차-2차-3차산업이 산업구조를 구분하는 기준에서 등장했다”고 간략히 설명한 바 있다. 그렇다면 산업구분을 한 사람은 누구며, 그 시기는 언제일까

국민소득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던 영국의 경제학자 클라크(Colin Grant Clark)는 1940년 그의 저서 <경제적 진보의 제조건>에서 1차-2차-3차산업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클라크는 농림수산업을 1차산업, 광공업(제조업)을 2차산업, 상업, 교통업, 판매, 서비스업을 3차산업으로 구분했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국가의 경제발전의 진전에 따라 산업의 중심이 1차산업에서 3차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경제발전의 목표를 클라크의 산업구분에 맞춰 진전시켜 왔다. 1차산업의 기반부터 닦자는 것이 박정희 대통령 시절의 새마을운동이었고, 1차산업에서 2차산업으로의 빠른 전환을 시도했던 것이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을 위시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었다.

출처: 픽사베이

정보화혁명(3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진 산업분화

경제학자 클라크가 세상을 떠난 것은 1989년으로, 그때까지만 해도 전 세계의 산업은 1차-2차-3차산업의 틀에 맞춰 돌아가고 있었다. 클라크가 노년을 보내던 시기 세계는 또 한 번의 산업혁명을 진행하고 있었다. 지금은 ‘3차 산업혁명’이라고도 부르는 정보화혁명이 바로 그것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포탄과 미사일의 탄도를 계산하기 위해 컴퓨터가 등장했다. 이 시기의 컴퓨터는 오늘날의 컴퓨터와 달리 작은 공장 하나만한 크기였다. 그러나 반도체 기술의 혁신, 전자공학의 발전은 80년대부터 개인용 컴퓨터 시대를 열었다. 그 전에는 국가기관이나 거대기업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던 컴퓨터가 작은 사업체, 가정과 개인에게 도입되기 시작한 것이다.

한편, 2차대전 이후에 시작된 미-소간의 냉전은 핵전쟁과 핵전쟁 이후에 대한 대비책을 만들게 했다. 미 국방부는 핵전쟁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방사능과 전자파 쇼크 이후에도 가동할 수 있는 통신네트워크를 구상하다 알파넷(alphanet)을 구축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민간영역으로 넘어오며 오늘날의 인터넷이 시작되었다.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의 연결은 새로운 시대를 위한 자연스런 기반을 만들게 된다. 이른바 정보화혁명. 1990년대 들어서며 세계는 빠른 속도로 정보화혁명의 흐름을 타게 된다. 대한민국도 국민PC의 보급과 초고속인터넷통신망 보급을 통해 빠른 속도로 이 흐름에 동참하며 IT 대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다진 것이다.

4차산업의 등장: 3차산업에서 분화된 지식집약적 산업

이 즈음되자 기존에 3차산업이라 부르던 서비스 업종의 테두리에 속하면서도 기존의 3차산업과는 또 다른 형태의 업종들이 속속 등장하게 되었다. 50년의 세월을 거치며 1940년 클라크의 산업구분으로는 모든 산업을 이야기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기존의 서비스업의 가치를 갖고 있는 상업, 금융, 보험, 수송 등을 3차산업으로 둔 채 지식집약적 산업인 정보, 의료, 교육, 기타 서비스 등을 따로 분류해 4차산업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이런 지식집약 산업들이 4차 산업혁명을 일으키는 원동력 중 일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정의를 알지 않은 채 대화를 거듭하다보면 의미의 혼재로 인해 혼란스러운 게 당연하다.

문제는 이런 혼란함을 수습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을 자처하는 사람들조차도 이런 기본적인 학습을 하지 않은 채 강연에 나선다. 언론매체의 무책임함도 문제다. 관련 용어정리를 하더라도 드론, 3D프린터, 인공지능 등의 개념설명에 열중하고 있어 발명품 전시회()를 하자는 것인지, 산업발전을 이루자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러니 일반대중은 오죽하겠는가 (계속)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