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그들만의 내 축제! (1)

대구의 플라뇌르 대프리카를 말하다(22)

조연호 작가 승인 2019.02.21 13:40 의견 0

필자는 서울에서 수많은 축제를 기획하고 진행했었다. 대학시절에는 신촌 일대에서 ‘신촌문화 만들기’, ‘한조각나눔축제’(지금으로 말하면 재능기부 축제다), 2002년에는 ‘월드컵 페스티벌’, 군 복무를 마친 이후에는 서대문구(서울시)에 있었던 5가지 축제(작은 지역구인데, 축제가 상당히 많았다)를 하나로 통합했는데, 초대 사무국장으로 기획과 총 진행을 담당했다. 이후에는 ‘우리가GREEN신촌’이라는 청년 프로젝트를 통해, 연세로 문화축제(2011년)를 최초로 기획하고 진행했으며, 이후에도 다양한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유치했다. 그렇기 때문에 축제에 대해서만큼은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한 해에도 수많은 축제가 등장했다가 사라진다. 2016년 기준으로 전국 축제는 1만 6천828개다. 매일 46개 축제와 행사가 열린 셈이다. 그리고 축제 등에 투입되는 예산은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예산 8천291억 원이 투입됐다. 2014년보다 1천582건(10.4%), 966억 원 (13.2%) 늘었다고 한다.

대구는 광역시 차원에서 지원하는 축제만 20여 개 정도로 파악된다. 아마도 각 구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축제를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 그런데 정말 이상한 일은 이렇게 많은 축제와 행사가 진행되는데도 축제 성과와 관련한 자료는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전국 대부분 축제 성과가 부풀려져 있고, 사후 엄정한 평가가 실행되는 경우도 별로 없기 때문이다. 많은 축제가 세금지원으로 개최되는데, 시민 참여율은 상당히 저조하다(이 책을 읽는 독자들도 생각해 보기 바란다. 수많은 축제 중 몇 번이나 참여했는지) 그래서 담당 공무원들은 동원을 위해 동분서주(東奔西走)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부분은 서울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서울시와 행사를 해도, 담당 공무원들이 가장 공들이는 부분도 인원 동원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는가가 행사 평가 기준이 된다. 실제로 유명한 축제들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즐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올 수 있도록 하는 원인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축제만 개최하고 홍보한다고 해서 외지인들이 축제에 참여하기 위해서 몰려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교통체증이나, 인산인해(人山人海)로 인한 부담으로 축제 지역을 우회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동원에 목을 매는 것일까 비판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따져보자.

우선, 지역 행사는 지방자치단체장 인사말이 있다(자치시는 시장, 자치구는 구청장 등). 공무원들 인사고과를 평가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참석해서 인사를 하셔야 하니, 청중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행사 콘텐츠는 그다음 순위로 밀린다(필자가 서울시와 함께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을 할 당시에도 콘텐츠를 고려해서 패널을 섭외하려고 했지만, 담당 공무원들이 원하는 모양새가 아니어서 결국, 샘 오취리, 샘 해밀턴 같은 연예인들을 섭외할 수밖에 없었다).

다른 이유는 참여자 수에 따라 축제 지속여부를 결정하고 예산증감이 결정되니, 참여자 수는 항상 상당히 부풀려진다. 예를 들어 이태원 지구촌 축제는 이틀 동안 진행되는데, 70~80만 명이 참가 한다고 한다. 당연히 부풀려진 숫자다. 참가자 수가 아니라, 그 기간에 지나가는 사람들도 포함한 수다. 이태원 근처에 녹사평, 이태원 역등이 있는데, 단순 통근자들도 포함된다.

또 다른, 숨겨져 있는 원인은 축제 때 지원받은 예산과 참여 기업들로부터 받는 후원금 등이 축제조직위원회 1년 예산이 된다. 특히, 상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축제인 경우 이권 다툼도 꽤 크다(필자도 신촌에서 상인들과 축제를 진행할 때 비슷한 경험이 있으며, 대구에 내려와서 동성로 축제위원회 회의에 지인 요청으로 참석했는데, 신촌에서 경험과 별로 다르지 않았다). 카르텔이 형성돼 있다고 할 수 있다. 한 번 조직된 이상, 외부 간섭은 용납하지 않는다. 좋은 아이디어도 수익과 상관이 없다고 판단되면 반영되지 못한다. 그러니 대부분 축제가 시간이 지나도 한결같을 수밖에 없다.

상업적인 행사, 기획사 수익을 챙겨주는 행사, 조직위원회 1년 예산을 마련이 주목적이다. 이러한 현실을 알기에 지방자치단체는 민간이 진행하는 축제에서 서서히 발을 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선거는 4년에 한 번씩 돌아오기에 기존 축제 폐지는 실제로 쉽지 않다. 축제 조직을 변화 시키려 해도 저항이 만만치 않아서 그대로 관망하게 된다. (다음 회에 계속)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