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식 편집장
승인
2024.09.01 10:31 | 최종 수정 2024.09.01 20:50
의견
0
동네서점의 현주소는 어디쯤일까? 지난 7월 발간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간행물 <KCTI INSIGHT Vol.02>에 '동네 지역 서점을 지키는 정책'이라는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전국의 서점 수는 2021년 기준 2,528개로, 2011년 이후 격년마다 7~9%씩 감소하다가 2017년 8.6% 증가, 소규모 서점들이 급격히 증가한 2021년 9% 증가한 것으로 나온다.
'소상공인 서점 지원정책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 서점의 출점 제한 정책이 중소형 서점 보호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으나, 온라인 서점의 성장과 소비자 구매 행태 변화로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시행된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 업종 지정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서점업은 생계형 적합 업종으로 지정되어 대기업의 신규 출점이 연 1개로 제한되고, 학습 참고서 판매도 3년간 금지되었다.
이는 소상공인이 약 90%에 달하는 서점업의 영세한 구조를 고려한 조치였다.
연구 결과, 대형 서점의 출점은 해당 지역 소매 서점의 종사자 수, 특히 비임금 근로자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형 서점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규모를 축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비자 조사에서는 대형 서점이 폐점한 지역에서 중소형 서점 이용이 증가하고, 학습 참고서 구입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서점 이용은 감소하고 온라인 서점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해당 기사에서는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생계형 적합 업종 지정의 세부 적용 방식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대형 서점과 중소형 서점 간 경쟁보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점 간 경쟁, 신간과 중고 서적 판매 간 경쟁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각 유형의 서점이 판매 도서와 서비스를 차별화하고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중소형 서점 보호 제도에 대한 인식과 접근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점은 지역 주민들에게 책을 만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문화적 인프라이기에 지역 서점의 경쟁력 강화와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 정보 생산 및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개별 서점 대부분이 영세한 여건 속에서 어떤 해법이 나올 수 있을지 염려된다.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