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트위치 떠난 후 아프리카TV, 치지직 양강구도

-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2024년 상반기 모바일 앱 순위 총정리
- 유튜브 뮤직, 음원 강자 멜론 14만 명 차이로 앞서
- 쿠팡, 2024년 5월 사용자 수 역대 두 번째 최고점 달성

윤준식 편집장 승인 2024.06.13 14:44 의견 0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활용해 작성한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2024년 상반기 모바일 앱 순위 총정리 리포트>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아이지에이웍스가 보유한 Hyper DMP 기반 솔루션 마케팅클라우드 및 모바일인덱스 고유의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추정치가 반영되었고, 모바일 데이터는 안드로이드 및 iOS 통합 분석 기준 데이터가 활용됐다.

1. 모바일 앱 순위 총정리

‘유튜브’는 2024년 5월 기준, 가장 많은 사용자 수(MAU)를 기록하며 상반기 모바일 앱 명예의 전당 1위에 올랐다. 2위는 ‘카카오톡’, 3위는 ‘네이버’로 분석됐다.

2. 인터넷(브라우저), 소셜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금융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 순위 분석

2024년 5월 기준, 인터넷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는 약 5027만 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중 ‘네이버’ MAU가 약 4,313만 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Chrome(약 3,624만 명)’, ‘Google(약 3303 만 명)’이 뒤를 이었다.

소셜네트워크 업종 MAU는 약 4,822만 명으로, 그중 메신저/전화 부문에서는 ‘카카오톡’이 약 4,507만 명으로 사용자 수가 가장 높았다. 이 외 SNS/커뮤니티, 소개팅/채팅에서는 각각 ‘인스타그램(약 2,185만 명)’, ‘ChatGPT(약 127만 명)’이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엔터테인먼트 업종 월 사용자 수는 약 4,809만 명으로, OTT 영역에서는 ‘유튜브’가 약 4,579만 명으로 사용자 수가 가장 높았다. 이 외 음악 부문에서는 ‘유튜브 뮤직(약 725만 명)’, 개인방송에서는 ‘아프리카TV(약 235만 명)’이 1위를 차지했다.

금융 업종 전체 월 사용자 수는 약 4,376만 명으로 확인됐다. 은행/뱅킹 부문에서는 ‘토스’의 MAU가 약 1,827만 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송금/결제 카테고리 앱 중에서는 ‘삼성월렛(약 1,647만 명)’이 5월 사용자가 가장 많았다.

3. 2024년 상반기 여행/교통, 쇼핑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 순위 분석

2024년 5월 기준, 여행/교통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는 약 4,080만 명으로 확인됐다.

‘네이버지도(약 2,628만 명)’, ‘카카오T(약 1,313만 명)’, ‘야놀자(약 369만 명)’, ‘대한한공 MY(약 103만 명)’, ‘지쿠(약 67만 명)’ 앱이 각 카테고리별 사용자 수 1위에 올랐다.

쇼핑 업종 MAU는 약 3,824만 명으로, 그중 소설커머스 부문은 ‘쿠팡(약 3,058만 명)’ 중고거래 부문 ‘당근마켓(약 1,712만 명)’, 종합쇼핑/홈쇼핑 부문은 ‘GS SHOP(약 483만 명)’, 마트 부문은 ‘우리동네GS(약 357만 명)’, 백화점 부문은 ‘롯데백화점(약 104만 명)’, 면세점 부문은 ‘롯데면세점(약 27만 명)’이 각각 MAU 1위에 이름을 올렸다.


4. 식음료, 게임, 건강/의료, 도서/참고자료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 순위 분석

2024년 5월 기준, 식음료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는 약 2,996만 명으로 나타났다. ‘배달의민족’이 약 2,185만 명의 MAU를 기록하면서 배달 부문에서 월간 사용자 수 1위를 차지했다. 브랜드/멤버십 카테고리에서는 ‘스타벅스(약 697만 명)’가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게임 업종의 MAU는 약 2,412만 명이며, 그중 롤플레잉 부문에서 ‘쿠키런:킹덤(약 70만 명)’이 1위로 확인됐습니다. 2위는 ‘승리의 여신:니케(약 40만 명)’이었고, 3위 ‘블루 아카이브(약 31만 명)’로 확인됐습니다.

건강/의료 업종 월간 사용자 수는 약 2,257만 명으로, 그중 운동/피트니스 부문에서 ‘삼성헬스’가 약 886만 명으로 사용자 수가 가장 높았습니다.

도서/참고자료의 업종 월 사용자 수는 약 2,363만 명으로, 만화/웹소설 부문에서 ‘네이버웹툰’이 1,001만 명, ‘카카오페이지’가 603만 명, ‘네이버시리즈’가 321만 명으로 각각 1위, 2위, 3위를 차지했습니다.


5. 패션/의류, 카메라, 자동차, 교육, 구인/구직, 메이크업, 가구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 순위 분석

2024년 5월 기준, 패션/의류 업종 월간 사용자 수(MAU)는 약 1,605만 명이었다. 여성의류 카테고리에서 ‘에이블리’가 약 489만 명으로 사용자 수 1위에 올랐고, ‘지그재그’가 약 294만 명으로 2위였다.

카메라 업종 MAU는 약 1,030만 명으로, ‘스노우’가 약 421만 명으로 기록하면서 MAU 1위를 차지했다.

자동차 업종 월간 사용자 수는 약 967만 명으로, 그중 자동차브랜드/구매정보 부문에서 ‘현대 블루링크’가 약 180만 명의 사용자 수를 기록하면서 1위에 올랐다. 이 외 중고차 부문에서는 ‘엔카(약 84만 명)’, 카쉐어링 부문에서는 ‘쏘카(약 90만 명)’이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교육 업종의 MAU는 약 1,107만 명으로, 영어 부문에서 ‘듀오링고(약 38만 명)’, 중고등, 초등 부문에서는 ‘콴다(약 121만 명)’, ‘키즈콜 초등학교(약 7만 명)’이 각각 1위를 기록했다.

약 607만 명의 월 사용자 수의 메이크업 업종에서 ‘올리브영’이 약 502만 명으로 가장 높은 MAU를 차지, 약 407만 명의 MAU로 확인된 가구 업종 중 가구/인테리어 부문에서 ‘오늘의집’이 약 351만 명으로 1위로 확인됐다.


6. 2023년 5월 대비 2024년 5월 월간 사용자 수(MAU)가 가장 많이 증가한 앱 분석

2024년 5월 지난해 5월 대비 ‘테무’의 사용자가 약 647만 명이 증가하면서 5월 사용자 수 급상승 순위 1위에 올랐다. 2위는 약 350만 명 증가한 ‘쿠팡이츠’, 3위는 약 297만 명 증가한 ‘AilExpress’로 분석됐다.


7. 성별/연령별 신규 설치 순위 분석

2024년 상반기 기준 성별/연령별 모바일 앱 2024년 1월부터 5월까지 누적 신규 설치 수 분석 결과, ‘인스타그램’이 10대 이하 남성(약 83만 명), 10대 이하 여성(약 70만 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테무’는 20대 남성(약 87만 명), 20대 여성(약 112만 명)으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