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2018 세계 삶의 질·생활환경 조사 도시 순위 발표 - 서울 79위, 부산 93위 심정 기자 승인 2018.03.20 10:35 0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 머서(MERCER)가 20일 2018년 세계 주요 도시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Quality of Living) 순위를 발표했다. 유럽은 브렉시트를 비롯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8개 도시가 생활환경이 좋은 상위 10개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사라예보와 브라티슬라바 등의 신흥 도시의 경우 경제 및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인재와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반시설과 근린 공공시설, 주택에 수십 년간 투자한 결과 매년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합 순위에서는 빈이 9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됐다. 2위는 취리히, 3위에는 오클랜드와 뮌헨이 공동으로 올랐다. 5위는 북미에서 가장 생활환경 수준이 높은 밴쿠버가 차지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25위), 남미에서는 몬테비데오(77위), 중동·아프리카에서는 두바이(74위)가 대륙 별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한국 도시 중 서울과 부산은 각각 79위와 93위에 올라 작년 76위와 92위 대비 소폭 하락했다. 서울은 서울시의 자체 요인 보다는 북한의 잦은 미사일 발사로 인한 남북 긴장관계 고조 및 대통령 탄핵 관련 시위 등의 국가 정치, 사회 환경 부문에서 작년 대비 점수가 다소 하락하였다. 이에 지난해 서울보다 낮은 순위였던 부다페스트, 아부다비, 몬테비데오가 서울을 앞지르면서 서울의 순위가 세 계단 내려갔다. 한편 올해는 인재와 기업 양쪽 다 도시의 매력을 가늠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시 위생 순위도 발표되었다. 각 도시의 쓰레기 처리와 하수시설, 전염병의 수준, 대기오염, 수질 등에 대해 전 세계 도시들의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호놀룰루가 도시 위생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 공동 2위로 헬싱키와 오타와가 오른 반면, 다카(230위), 포르토프랭스(231위)가 도시 위생 부문 최하위에 머물렀다. 서울은 도시 위생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대기오염 부문에서 미세먼지와 황사 이슈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아 86위를 차지하였다. 부산은 대체적으로 서울과 비슷하나 수질에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101위에 그쳤다. 머서는 매년 전 세계 450개 이상의 주요 도시 생활환경 조사를 실시하여 230여개 도시의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평가 영역은 △정치 사회 환경 △경제 환경 △사회 문화 환경 △의료·위생 여건 △학교 및 교육 △공공 서비스 및 교통 시스템 △여가 시설 △소비자 상품 △주택 및 자연 환경으로 구성되며 영역별 39개 세부항목을 비교 분석한다. 이번 순위는 2017년 9월에서 11월 조사결과를 근거로 하고 있다. 0 0 시사N라이프 심정 기자 jung1493@sisa-today.com 심정 기자의 기사 더보기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 머서(MERCER)가 20일 2018년 세계 주요 도시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Quality of Living) 순위를 발표했다. 유럽은 브렉시트를 비롯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8개 도시가 생활환경이 좋은 상위 10개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사라예보와 브라티슬라바 등의 신흥 도시의 경우 경제 및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인재와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반시설과 근린 공공시설, 주택에 수십 년간 투자한 결과 매년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합 순위에서는 빈이 9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됐다. 2위는 취리히, 3위에는 오클랜드와 뮌헨이 공동으로 올랐다. 5위는 북미에서 가장 생활환경 수준이 높은 밴쿠버가 차지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25위), 남미에서는 몬테비데오(77위), 중동·아프리카에서는 두바이(74위)가 대륙 별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한국 도시 중 서울과 부산은 각각 79위와 93위에 올라 작년 76위와 92위 대비 소폭 하락했다. 서울은 서울시의 자체 요인 보다는 북한의 잦은 미사일 발사로 인한 남북 긴장관계 고조 및 대통령 탄핵 관련 시위 등의 국가 정치, 사회 환경 부문에서 작년 대비 점수가 다소 하락하였다. 이에 지난해 서울보다 낮은 순위였던 부다페스트, 아부다비, 몬테비데오가 서울을 앞지르면서 서울의 순위가 세 계단 내려갔다. 한편 올해는 인재와 기업 양쪽 다 도시의 매력을 가늠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시 위생 순위도 발표되었다. 각 도시의 쓰레기 처리와 하수시설, 전염병의 수준, 대기오염, 수질 등에 대해 전 세계 도시들의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호놀룰루가 도시 위생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 공동 2위로 헬싱키와 오타와가 오른 반면, 다카(230위), 포르토프랭스(231위)가 도시 위생 부문 최하위에 머물렀다. 서울은 도시 위생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대기오염 부문에서 미세먼지와 황사 이슈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아 86위를 차지하였다. 부산은 대체적으로 서울과 비슷하나 수질에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101위에 그쳤다. 머서는 매년 전 세계 450개 이상의 주요 도시 생활환경 조사를 실시하여 230여개 도시의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평가 영역은 △정치 사회 환경 △경제 환경 △사회 문화 환경 △의료·위생 여건 △학교 및 교육 △공공 서비스 및 교통 시스템 △여가 시설 △소비자 상품 △주택 및 자연 환경으로 구성되며 영역별 39개 세부항목을 비교 분석한다. 이번 순위는 2017년 9월에서 11월 조사결과를 근거로 하고 있다. 0 0 시사N라이프 심정 기자 jung1493@sisa-today.com 심정 기자의 기사 더보기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