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작가 한강 읽어보기(8)] 검은 사슴: 과거나 지금이나

조연호 전문위원 승인 2024.12.15 09:55 의견 0

얽히고설킨 인연의 연결, 단절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살아간다. 작가 한강은 단 한 명도 정상적인 사람을 등장시키지 않는다. 등장하는 ‘의선’은 실존조차도 의심된다. 의선을 찾으러 가는 인영과 명윤, 그리고 강원도의 작은 폐탄광 마을 사진관에서 기생하는 장을 가공했다.

의선의 행방이 뭐 그렇게 중요한 것인지, 다른 등장인물은 그녀의 발자취, 혹은 역사를 찾아 떠난다. 그러면서 그녀가 겪었던 일을 되짚어 보고, 법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은 인물이었음을 밝혀낸다.

작은 사진관에서 홀대받으면서 기생하던 장을 취재하러 간 인영과 명윤은 과거 탄광 이야기 속에 담긴 애환을 누군가의 입을 통해 꺼내 들으면서, 이미 잊힌 일들을 소개한다. 작가는 여전히 잊지 말아야 할 과거를 소재로 삼아 아픈 우리 근현대사를 조망한다.

현대인의 외로움

“깊은 땅속, 암반들이 뒤틀리거나 쪼개어져서 생긴 좁다란 틈을 따라 기어다니며 사는 짐승. 검은 사슴. 흩어져 있는 놈들을 헤아려 보자면 수천 마리나 되지만, 사방이 두꺼운 바위에 막혀 있는 탓에 한 번도 자신들의 종족을 만난 적이 없기 때문에 저마다 자신을 외돌토리로 여긴다지요.”

현대인의 외로움은 이미 만연한 사회 현상이다. 오히려 외롭지 않다면 이상한 게 현대인의 심정 아닐까? 그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개인의 외로움은 공동체로 해결할 수 있다. 아무리 SNS에서 ‘좋아요’를 많이 받아도 근본적인 외로움은 해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숫자에 매달리면서, 더 외로워지는 현상을 경험한다.

작가는 ‘검은 사슴’을 말한다. 수천 마리가 거의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지만, 칸막이로 인해서 외돌토리로 살아가는 짐승. 우리 아파트의 모습이 이와 같다. 마주치면 가볍게 인사하지만, 이것도 인사 문화가 자리 잡은 아파트에서나 그렇다. 바로 옆집에 몇 명이 사는지, 우린 알지 못한다. 알고 싶어하지도 않는다. 이웃사촌은 옛말이고, 이웃을 더 경계하는 심리적 부담을 가지고 현대인들은 살아간다.

왜 그들은 ‘의선’을 찾아야 했을까?

작품은 ‘의선’이라는 법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한 여자를 찾는 데서 시작한다. 이미 두 번 행방불명되었다가 나타난 의선이 이번에는 제대로 사라졌다. 왜 그들은 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의선, 친척도 아니고 지인도 아닌 사람을 찾아, 서울을 벗어나 폐탄광 마을까지 가야 했을까? 그곳에 의선이 있다는 확신도 없으면서 말이다.

의선은 작가의 다른 책 『채식주의자』의 주인공을 떠오르게 한다. 집단의 힘이 개인의 자유를 빼앗고 한 여인의 특성을 무시한다. 그러고 나서, 채식주의자로, 정신병자로 규정지어 버린다. 의선 역시 마찬가지다. 그녀는 존재하지만, 법적으로 사회적으로 존재하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 사람을 명윤과 인영이 찾는다. 여기서 우리는 ‘존재’를 떠올린다. 존재의 문제는 수많은 철학자가 다룬 주제였다. AI시대를 맞이한 현대에서도 인간의 존재를 따져 든다. 프레임 안에서 규정된 존재가 아니라, 인간 그 자체로서의 존재를 작가는 찾고 있는 게 아닐까?

“인간 승리류의 기사들을 주로 다뤄오던 잡지의 분위기가 차츰 유명인들의 신변 스토리 위주로 바뀌어 가는 것도 독자들의 변해가는 구미를 고려한 것이었다.”
우리는 어린 시절 위인전을 읽었다. 어려운 역경을 이겨내고 나라를 구하거나, 크게 성공한 사람의 일대기를 읽고 보면서 나도 저렇게 포기하지 말고 성장해야겠다 다짐했다.

그러나 요즘은 그렇지 않다. 우리의 주변은 가십거리가 대부분이다. 유치원생부터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연예인, 인플루언서에 빠져 산다. 위인이 되기보다는 당장 핫한 사람이 되고 싶어한다. 어려움을 극복하기보다는 포기한다.

의선은 일반적 시각에서 볼 때, 이상한 사람이다. 거리에서 옷을 벗고 뛰어다니고, 그녀의 모든 정보는 거짓이다. 그러나 그녀의 실존은 분명하며, 그녀를 없는 사람 취급할 수도 없다.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보이는 게 전부인 것처럼 세상을 살아간다.

폐탄광 : 묻어버리고 싶은 과거

그러나 작가는 이미 문을 닫은 폐탄광을 통해 현대를 비판한다.

“우리나라 광산사고가 선진국의 몇 배였을 것 같니. 사십일 배야. 안전시설 미비, 관리 소홀.... 무엇보다 채탄량에 따라 급여를 주는 도급제도에 가장 큰 문제가 있어. 생계비라도 타내려면 죽기 살기로, 안전수칙을 모두 무시하고 일해야 하는 거야.”
과거의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문학은 과거의 문자로 소멸된다. 힘이 있는 문학은 글을 통해서 지금을 읽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강의 작품은 힘이 있다.

한국은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GDP 3만 달러를 달성했다. 한류는 전 세계를 휩쓸고 있고, 경제, 군사, 문화 등 세계적인 수준이다. 정치적으로도 국민 5천만 명이 넘는 국가 중 민주주의 지수가 우리나라 정도 되는 국가는 손에 꼽을 정도이다.

그러나 급속도로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는 정신을 잃었다. 천민자본주의가 판치고 있으며, 이제는 그 천민자본주의가 승자의 기준이 됐다. 무엇을 하든 돈만 벌면 된다는 금전 만능주의가 고결한 정신세계를 집어삼켰다.

먹고 살기 위해 안전수칙을 어기고 선진국의 마흔 배가 넘는 사고가 드러나는 것을 통제하면서 성장한 한국은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워 졌지만, 정신은 고갈됐다. 폐탄광은 결국 우리 정신의 폐탄광화를 의미한다. 혹은 우리 공동체의 소멸을 의미한다.

12만 명이 넘는 사람이 모여 살았다는 탄광 마을이 소멸 도시로 바뀌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성장일로(成長一路)로만 쭉쭉 뻗어나갈 것 같지만, 이제 성장도 멈춘 상태다. 이미 세계 경제가 그렇다. 선진국은 고령화로 생산성이 부족하고, 청년층이 많은 국가는 여전히 정치·사회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

넓게 보지 않아도 된다. 우리 사회는 멈췄다. 정신은 죽었고, 그 정신의 죽음을 대체하려 했던 물질적 풍요로움은 남의 풍요로움일 뿐, 나한테는 부러움이다. 죽음을 각오하고 석탄을 캤던 사람들은 몸과 마음에 병을 얻었지만, 부를 챙기지 못했다. 그 부는 아주 적은 사람들한테로 일방적으로 돌아갔다. 폐탄광의 모습은 지금도 계속된다. 소수의 부자를 위한 다수의 희생은 여전히 다수가 소수를 이길 수 없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사진 속 이미지를 버리고

강원도에서 만난 사진작가(?) 장은 이제 과거처럼 사진을 찍지 않는다. 먹고 살기 위해서 그저 마음에 들지 않는 작은 사진관의 주인으로부터 지청구를 받으며 겨우 살아간다. 그는 사진을 배우고 찍다가 한순간 깨닫는다.

“세계의 내면과 사진기 사이에 놓인 간격을 깨닫고 있었다. 사진기로는 어느 것의 안으로도 들어갈 수 없었다.”
이미지가 실제를 넘어서는 게 현대 사회다. 프랑스의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지옹』에서 이미지가 더 각광받는 세상을 예견했다.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의 주인공도 결국 불구의 몸을 버리고, 혹은 인간 사회의 비윤리적인 행태에 대한 환멸을 바탕으로 인간을 포기하고 아바타가 되기로 결심한다. 보드리야르와 카메론은 실제가 아닌 이미지에 손을 들어줬다. 철학자는 앞으로의 세상을 예견한 것이고, 영화감독은 실제 세상을 비판하면서 가상 세계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한강은 다르다. 이미지를 버리고 있다. 세계와 사진기 사이의 간격을 우울하게 느끼고 있다. 이미지가 현실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의선의 사라짐,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의선은 가상일 뿐이다. 모든 게 조작된 인간. 진짜 의선을 찾아가는 여정은 소설 속에서도 어려웠지만, 현실 속에서는 더 어렵게만 느껴진다. 우리는 지금의 이미지를 포기하고 진짜 의선을 찾아갈 용기조차 없으니까.

“어둠은 평등했다. 죽음과 마찬가지로, 모든 것을 똑같은 암흑 속에 묻어버리고 있었다.”

<저작권자 ⓒ시사N라이프> 출처와 url을 동시 표기할 경우에만 재배포를 허용합니다.